분류 전체보기 154

3. 환경을 이해하기

1. 주변을 둘러싼 환경을 이해하기 = 전체를 본 후 세부적인 내용으로 [순서] 1) 거시적인 관점에서 시작 (전체를 봄) 2) 미시적인 것을 보는 것 ex) 글로벌 -> 국내 -> 시장 -> 회사 2. 경쟁 환경의 중요성을 파악하라 [순서] 1) 경쟁상대가 누구인지 파악 2) 진입 기업의 평균적인 수준을 보고 구조를 이해 3ㅋ) 우량 기업의 대응방법 이해 3. 성과물의 가치를 높힌다 = 보다 나은 퀄리티로 만든다. (도전!) 4. 정리 5단계 1) 요점을 3가지 정도로 정리하는 습관. 2) 하상 결론 중심으로 생각한다. -> 핵심이 무엇인가? 3) 듣는 사람의 특성에 따라 보고 방식을 다르게 한다. 4) 받아들이는 입장에서 알기 쉽게 하는 것이 중요. 5) 요약한 텍스트와 그것을 증명하는 차트를 포함시..

커뮤니케이션 2020.08.04

2. 실천 문제 해결

1. 문제 해결이란? = 본질적인 문제를 발견하지 못한다면, 아무리 문제 해결을 시도해야 성공할 수 없다! 1. 문제 해결의 기본을 이해하는 것 = 전체를 머릿속에 그린 뒤 세부적인 것으로 나아가는 것이 이해하기 쉽다. EX) 조직도, 업무 구성도 등 2. 문제를 둘러싼 환경을 이해하는 것 = 전체에서 세부로 내려가면서 어떤 것들을 생각하면 되는가와 같은 방법이 좋다고 한다. 3. 효과적인 정보 수집 방법을 배워야한다. = 업무 프로세스나 전체 업무를 파악할 수 있는 자료가 필요하다. 4. 데이터를 차트화 = 한눈에 보기 편하게 하여 생각을 쉽게 도와준다. 5. 프레임워크를 완벽하게 구사하는 것이다. = 틀을 만들어서 수집된 정보와 데이터가 너무 많아서 그 가운데서 찾아낸 것이 너무 막연해 의미 파악이 ..

커뮤니케이션 2020.08.01

28. 데이터 사전

1. 데이터 사전 개념 (메타데이터) =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제외한 모든 정보가 있다. -> 즉, 데이터의 데이터를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 사용자에게 읽기 전용 테이블로 제공 - 단순 조회만 가능하다. 2. 데이터 사전 내용 1) 사용자 정보 (ID, PASSWORD, 권한) 2) 객체정보 (테이블, 뷰, 인데스) 3) 무결성 제약정보 4) 함수 / 프로시저 / 트리거 3. 데이터 사전 용도 = 컴파일러 / 옵티마이저 등과 같은 구성요소에 데이터 사전은 작업 수행하는데 필요한 참고 정보일뿐만 아니라 작업의 대상이다. 4. 오라클 데이터 사전 영역 1) DBA = 데이터 베이스의 모든 객체 조회 가능 EX) select * from DBA_TABLES EX) select * from DBA_IND..

DB 이야기 2020.08.01

1. 문제 해결력

1. 로지컬 씽킹 습득 로지컬 씽킹의 기초 베이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학 로직을 사용한다고 한다. 즉, A=B, B=C, A=C를 사용한다. 주의할 점은 여기에 들어가는건 단순히 단어가 아닌 명제이자 하나의 문장으로 생각한다. 어학과 IT는 지식이 아니라 일을 하기 위한 수단이다. 그 자체는 하나의 도구로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만 있으면 된다. 따라서 어학과 IT의 교육은 생활의 일부로서 매일같이 사용하는 것을 가장 중시해야한다. 즉, 21세기는 지식이 많은 사람보다 로지컬 씽킹의 회로를 확립하고 어학과 IT를 습득한 사람이 절대적으로 강하다! 2005년에 나온 책치고 상당히 미래를 잘 알고 쓴 것 같은 느낌을 받았다. 내가 IT 직종에 있으면서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을 쓴 글이 있는데 마치 미래를 보고..

커뮤니케이션 2020.08.01

DB 연동방식

자바와 JSP를 배우면서 다양한 DB 연동 방식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JDBC / DBCP / JNDI가 대표적으로 존재한다. 1) JDBC (Java Data Base Connectivity) = 자바 자료 기반 연결하기 즉, 자바 어플리케이션 안에서 SQL문을 실행시켜서 데이터 베이스와 연동되게 도와준다. [특징] 1. 사용하려면 jdbc 전용 api를 사용해야한다. 2. db 정보를 가져올때마다 열고 닫는 것을 의미한다. 3. 데이터 베이스 통신에서 무조건 디비객체 생성, 커넥션 연결, 커넥션종료 등 반복하기 때문에 효율이 매우 떨어진다. * 그래서 JDBC 보다 POOL 방식인 DBCP나 JNDI를 사용한다! 2) DBCP (DataBase Connection Pool) = 커넥션 풀에 미..

자바 이야기 2020.07.30

설계하기

나의 it 첫 회사 infozen에 온지도 반년이 넘었다. 여기에 오면서 생전 보지 못했던 넥사크로, 엑스플랫폼을 사용하면서 공공기관에서 사용하는 웹을 알기 시작했다. DB를 공부하면서 쿼리의 장점과 쿼리를 사용해서 해결하는 법과 스크립트를 사용하여 해결하는 방법을 배웠다. 회계를 공부하면서 업무에 대한 지식의 중요도와 프로세스를 파악하여 어떻게 흘러가는지 보는 법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려줬고 깨달았다. 프로세스가 가장 중요하다고 지금은 생각하고, 전체적인 구조가 어떻게 흘러가는지를 파악하는게 크게 느껴졌다. 그러한 전체적인 프로세스를 하기 위해서는 설계를 해야하는데 아직은 멀게만 느껴지지만 한편으로는 두근거리는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리고 이전 글에도 썼듯이 논리적으로 상대에게 설명하는 기술은 it에서 ..

나의 이야기 2020.07.28

미리 정의된 전역함수

1. eval = 문자열로 사용된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실행시키는 함수다. ex) var x = 10, y=20; var a = eval("x+y"); alert(a); // 30이 뜬다. 2. isFinite() = 문자, 숫자를 true인지 false인지 검사해주는 함수다. ex) var x = 10, y=20; var a = eval("x+y"); var t = isFinite(a); alert(t); // true 3. isNaN() = 전달된 값이 nan인지 아닌지 확인해주는 함수다. ex) var x = 10, y=20; var a = eval("x+y"); var t = isNaN(a); alert(t); 4. parseFloat() & parseInt() 1) 문자열을 파싱하여 소수점 수로 ..

게임 정리함 2020.07.25

일기예보와 해결

인문학의 위기를 말하지만 정작 번역서는 많지 않다. 특히 사회학은 해설서나 기본서가 턱없이 부족하다. [경제학자에게 사회학자는 욕?] https://www.yna.co.kr/view/AKR20131201015600009 나처럼 사회학을 전공한 사람들이 들으면 기분이 팍 상한다. 과거 생물학이 생물을 연구한다면, 사회학은 대상이 사회 전체를 관찰한다. 게다가, 과거 독일 경제학자들이 사회학을 만드는데 큰 역할을 했기에 경제학자들은 사회학의 아버지나 공통 조상을 많이 두고 있다고 생각했다. 마르크스, 소스타인 베블런, 막스베버 등등 [존 메이너스 케인즈] - 경제학자가 대공항이 지난 후에 공항이 어쩌니저쩌니와 같은 말은 일기에보이다. 경제학자는 현실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야한다. - 일기예보와 해결은 근본적인..

나의 이야기 2020.07.20

keyString

1. KeySting = dataset에 로드된 그룹 / 정렬할 기준이 되는 조건식 1) S : sort = 데이터를 정렬해준다. => 앞에 공백이 있으면 무조건 앞에 온다. => 공백이 없으니 순서대로 나온다. 2) G : Grouping = 그룹화를 도와준다. => 이렇게 중복으로 2개씩 나온다. / 여러 줄을 나오게 할시 유용할 것 같다. * 합계 구하기 => int, bigdeciaml 등 숫자 유형이 아닐경우 이렇게 사용

불안 중독자

아버지는 1960년대생으로 대부분 그 당시 겪었던 평범하게 가난하고 한량인 아버지 밑에서 자랐다. 그 당시엔 쥐뿔 없어도 장남이란 이유로 희생을 많이 강요받았다고 한다. 그래서 힘겹게 자랐고 집안 어른 중 누구도 아버지에게 관심을 가지거나 않았다. 어릴적부터 스스로 해야하고 운동을 했지만 부상으로 죽을 고비를 넘기고 어린나이에 포기를 배워야해서인지 스트레스를 받으면 감정을 주체를 못하였다. 나도 나이가 들고 군대에서 혼나는 법과 남들의 화남과 짜증 속에 있는 진정한 의미를 캐치하기 시작한 후로는 아버지의 짜증과 화남에 숨은 의미가 있다는 것을 점점 세월을 지나면서 알게 되었다. 그러면 나는 감정을 누그러 뜨리고 이야기하고 너무 심하면 그 당시는 피하는게 좋다. 시간이 지난 후 이야기를 하거나 산책을 하면..

나의 이야기 2020.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