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원리 17

컴퓨터가 이해하는 언어

1. 비트(0111000) -> 비트라는 말은 한 조각이란 의미. 초기 컴퓨터는 0,1로 껐다, 켰다를 의미로 사용하였다. 그래서 참, 거짓 등으로 해석하여 참이면 실행시키고 거짓이면 중지가 된다. 2. 코드 (암호, 약속) = 0고 1로 약속하자! 코드를 주고 해당된 이름을 받아와 인간이 보기 편하게 하는 것 EX) 141414번 사원번호를 컴퓨터가 이해하면 141414번 사원의 이름으로 표현하게 한 것 3. 바이트 (한 입으로 들어감) = 영어를 모두 표현할 수 있는 최소화의 크기 -> 영문은 알파벳 + 영어를 컴퓨터에게 이해하기 위해서 8개의 비트를 이용하여 1바이트가 된다. 4. 사람의 언어에서 컴퓨터의 언어로 1) 사람언어에서 컴퓨터언어로 = 인코딩 2) 컴퓨터언어에서 사람언어로 = 디코딩 * ..

컴퓨터 원리 2020.12.12

이클립스

1) 개발, 프레임워크 - 개발 툴 = 메이븐, 이클립스 - 프레임워크 = 스프링, 마이바티스 2) 이클립스 구성 - 뷰 : 패키지, web.xml, 콘솔, 서버 - 퍼스펙티브 : 자바ee 등 3) 이클립스 기능 - 임포트 = package explor -> import -> exasting projects into worksapce - 한글 = 프로젝트 우클릭 -> resource -> other -> utf-8 - java build path problem = 해당 클래스 패스 컨테이너를 찾지 못해 발생하는 에러 * 에러 우클릭 -> quick fix -> configure build path -> finish jre 새로 추가 - 모듈 패스 설정 = 톰켓 더블클릭 -> 모듈 -> web module..

컴퓨터 원리 2020.11.22

프론트엔드 & 백엔드 차이점

1. 프론트엔드 = 우리 눈에 직접 보여지는 부분 -> 화면을 구성하는 모든 것 ex) html, css, javascript 2. 백 엔드 = 눈에 보이지 않는 부분 -> 서버, 프로그램 기능 ex) DataBase => 프로그래밍언어 (java, jsp) / 프레임워크 (spring) / 데이터베이스 3. 풀텍스 = 프론트엔드와 백 엔드는 서로 관련이 있다. 따라서 기업에서는 이 두가지를 다 할 수 있는 인재를 원한다. 참고 :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6600589&memberNo=36090254

컴퓨터 원리 2020.08.19

돈이 되는 데이터

1. 데이터가 자산이 되는 데이터 경제 = 데이터 경제는 2011년 데이번 뉴빗이란 분이 사용한 개념이며, 아직 공식적이 개념은 아니다. 데이터 경제는 데이터의 활동이 중요 생산요소가 될 것이라는 경제구조 논리다. 왜냐면, 데이터를 가공하고 분석하는 일이 기업의 중요한 미래 자산이라는 점 때문이다. ex) 산업시대의 석탄과 석유를 잘 활용한 국가가 강대국이 되었듯이 이제는 데이터를 잘 활용하는 국가가 강대국이 될 것이라는 점이다. 2. 미래는 데이터 경제다 = 구글, 페이스 북, 카카오톡, 네이버, 다음 등 2000년 이후 새로운 분야의 산업이 생기고 새로운 기업이 성장했다. 위의 기업들은 강력한 검색엔진을 통해 세계의 정보를 기반으로 돈을 벌고 있다. 더군다나, 구글은 유투브를 인수하여 동영상 플렛폼을..

컴퓨터 원리 2020.07.04

데이터 디지털화

1. 인공지능 = 인공지능은 인간의 관심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지 않다가 SW 저장장치와 처리장치가 비약적인 발전을 통해 컴퓨터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생겼다. 왜냐면, 데이터 저장장치 발전은 적은 비용으로 많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 처리장치의 발전과 인터넷 속도 증가는 실시간에 가까운 반응을 낼 수 있다. 2. 인공지능에서 데이터의 의미 = 하지만 데이터가 없으면 아무리 성능이 좋아도 무용지물일 뿐이다. 인터넷과 SW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빅데이터가 뜨고 있지만 모든 데이터가 신뢰할 만한지 살펴보아야한다. 따라서, 데이터는 신뢰할만 해야하며, 데이터의 양은 많아야한다! 3. 데이터 디지털화 = 이 글에서 항상 강조는 데이터는 신뢰해야하며, 양도 많아야한다는 것에서 데이터의 디지털화..

컴퓨터 원리 2020.07.04

웹이란?

1. 웹 종류 1) html (hyper text markup language) = 웹 문서를 연결해주는 역할! - 팀 버너스라는 연구소 직원들이 서로 다른 운영체제와 프로그램 때문에 만듬 - html은 프로그래밍 언어가 아니다. - 브라우저에서 볼 수 있는 문서를 적는 언어 - 다양한 분야에서 게임, 앱에서 활용이 된다! - 블록처럼 코드로 만든다 - 역할에 따라 구역을 나눈다 (세션을 나눈다) == 보여주는 정보가 다르다 => 서버에서 바뀌는 것이 아니면, 다운받은 html을 수정해서 결과만 바꿨을 뿐이다. 2) css (Casscading Style Sheets) = html에서 디자인 기능이 없어서 만듬 => 이 2가지를 합쳐서 퍼블리싱 작업이라고 한다. 3) javascript = 위의 2개로 ..

컴퓨터 원리 2020.06.28

POST & GET

1. API = 메시지를 달라는건지 로그인 시켜달라는 요청인지 구분할 수 있는 체계 : API는 앱과 기기가 원활하게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즉 API는 애플리케이션과 기기가 데이터를 원활히 주고받을 수 있도록 중간 매개체 역할을 해주는 셈 - 요청 보내는 쪽 : 클라인언트- 응답을 주는 쪽 : 서버  *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2. CRUD = 요청의 요소로 4가지로 구분된다.  [특징]1) CREATE = 올리는 요청 EX) 타임라인에 사진을 올리기 2) READ= 불러오는 요청  3) UPDATE= 새로운걸로 바꾸는 요청 4) DELETE= 지우는 요청  [특징]1. CRUD 각각의 주소가 필요하다. (중요!)2. 서버의 기..

컴퓨터 원리 2020.06.27

pc 등장

pc (personal computer) = 컴퓨터는 서버를 통해서 다른 컴퓨터를 사용하는 사용자와 만날 수 있다! 1. LAN (local area network) = 컴퓨터가 연결된 작은 지역 2. MAN(meropolitan area network) = 여러개의 LAN을 하나로 연결하여 생성 3. WAN(wide area network) = 도시와 나라들을 모두 연결하여 생성 EX) 카카오톡을 다운로드하고 실행하면 일어나는 일 앱스토어 -> 카카오톡 검색 -> 다운로드 버튼 -> 기지국으로 신호가 감 (신호는 WAN을 따라서 이동) -> 애플의 컴퓨터 -> 저장되어 있던 카카오톡 파일을 전송 -> 보조기억장치에 카카오톡 실행파일 저장 -> 카카오톡 아이콘을 누르면 필요한 부분이 메모리로 올라옴 ->..

컴퓨터 원리 2020.06.26

컴퓨터 구성요소

1. 머리 부분 : cpu -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음 - 데이터의 연산, 처리 기능 담당 2. 메모리 - 창고역할을 하는 곳이 느려서 CPU 개인 작업 공간으로 메모리를 만듬 - CPU는 필요한 정보를 창고에게 요청하지 않앋도 된다. - CPU가 원하는 자료를 창고에서 메모리로 옮겨놓고 메모리 안에서 작업 가능 3. 창고역할 : HDD(하드디스크) / SSD(보조기억장치) -> 전원이 꺼져도 데이터는 남음 - 데이터를 저장하는 곳 - CPU에게 데이터를 주며 CPU보다 속도가 느리다. EX) 작동 방법 1. 화면 밖 아이콘 클릭 : 바로가기는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이다. 2. 실행이 되면 CPU가 작동하고 있음을 의미 3. 실행 중이라고 대기하는 것은 보조기억장치에 있는 데이터를 메모리에 옮기는 ..

컴퓨터 원리 2020.0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