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54

신입사원 실수와 해결법

[신입사원의 실수] 1) 일의 중요도에 따라 우선순위를 구분하지 못하고, 효율적인 일처리가 힘든다. 2) 정해진 체계와 방식에 따라 체계적이지 못하다 3) 업무 퀄을 높이기 위해 회고하고 성찰하는 습관이 없다. [요리에서 배우는 3가지] 1) offset : 물 올리기 (효율적인 task배치) -> 우선순위 고려하여 일처리 / 일괄처리 : 비슷한 업무를 묶어서 동시에 처리하기. 2) manual : 일단 레시피대로 하기 (체계에 따른 일처리) -> 기존의 업무를 참고하기(레버리지) / 모든 기존에 있는 자료를 열람해보기. 3) wrap up : 직접 먹어봐라 (회고와 피드백) -> 어떤 과업에 대한 잘한점과 개선해야할 점 등을 회고하고 피드백하는 과정 [일을 빨리 적응하고 어떻게 일을 잘 할 수 있는지]..

나의 이야기 2020.06.27

서버와 클라이언트

만약 수 많은 사람들이 동시에 뭔가를 보내달라고 신호를 보내면 어떨까? 컴퓨터는 힘들어서 죽습니다. 신호가 몰리면, 메모리의 공간을 모두 소진하거나 / CPU가 처리할 수 있는 한계를 넘어섬 1. 서버 (요청) = 파일을 달라고 계속 보채는 컴퓨터 - 24시간 365일 동안 안정적으로 돌아가는게 중요! 2. 클라이언트 (응답) = 파일을 주는 컴퓨터 EX) 프론트앤드 :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다른 말 참고 : 비전공자를 위한 이해 할 수 있는 IT 지식

pc 등장

pc (personal computer) = 컴퓨터는 서버를 통해서 다른 컴퓨터를 사용하는 사용자와 만날 수 있다! 1. LAN (local area network) = 컴퓨터가 연결된 작은 지역 2. MAN(meropolitan area network) = 여러개의 LAN을 하나로 연결하여 생성 3. WAN(wide area network) = 도시와 나라들을 모두 연결하여 생성 EX) 카카오톡을 다운로드하고 실행하면 일어나는 일 앱스토어 -> 카카오톡 검색 -> 다운로드 버튼 -> 기지국으로 신호가 감 (신호는 WAN을 따라서 이동) -> 애플의 컴퓨터 -> 저장되어 있던 카카오톡 파일을 전송 -> 보조기억장치에 카카오톡 실행파일 저장 -> 카카오톡 아이콘을 누르면 필요한 부분이 메모리로 올라옴 ->..

컴퓨터 원리 2020.06.26

컴퓨터 구성요소

1. 머리 부분 : cpu -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음 - 데이터의 연산, 처리 기능 담당 2. 메모리 - 창고역할을 하는 곳이 느려서 CPU 개인 작업 공간으로 메모리를 만듬 - CPU는 필요한 정보를 창고에게 요청하지 않앋도 된다. - CPU가 원하는 자료를 창고에서 메모리로 옮겨놓고 메모리 안에서 작업 가능 3. 창고역할 : HDD(하드디스크) / SSD(보조기억장치) -> 전원이 꺼져도 데이터는 남음 - 데이터를 저장하는 곳 - CPU에게 데이터를 주며 CPU보다 속도가 느리다. EX) 작동 방법 1. 화면 밖 아이콘 클릭 : 바로가기는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이다. 2. 실행이 되면 CPU가 작동하고 있음을 의미 3. 실행 중이라고 대기하는 것은 보조기억장치에 있는 데이터를 메모리에 옮기는 ..

컴퓨터 원리 2020.06.25

컴퓨터 구조

인간은 자신들의 환경, 공간, 물질 등으로 수준을 비교하고 잣대를 만들었다. 컴퓨터도 이러한 수준이 있다. 처음 들었을 때는 무슨소리인가 싶었지만 이내 설명을 들으니 무릅을 칠 수 밖에 없는 수준이었다. 먼저, 저수준 언어는 컴퓨터와 친화적 언어다. 즉, 컴퓨터가 이해하기 쉬우며 인간은 분석이 쉽지 않다. ex) 기계어, 어셈블리어 고수준에 언어는 인간이 이해하기 쉬운 언어다. 즉, 인간의 언어에 가깝고 인간이 이해하기 제일 쉽다. ex) 자바, c, c++ 등 컴파일러 언어 하지만 문제가 있다. 바로 비용이다. 컴퓨터 사양을 낮추어서 비용을 낮추고 싶은 사람들도 있다. 참고 : 비전공자를 위한 이해 할 수 있는 IT 지식

컴퓨터 원리 2020.06.25

신뢰와 의무

신뢰는 믿음을 굳게 믿고 의지하는 단어다. 남녀가 서로 처음 만나면 두려움 마음과 호기심이 동시에 든다. 그리고 대화가 진행되면서 서서히 경계가 허물어간다. 대화가 잘 진행되고 점점 편한 사이가 되면 믿음이 형성된다. 그렇다. 믿음은 다른 모르는 사람에서 이제 약간 편한 아는 사이가 된 것이다. 신뢰는 믿음이 쌓여가면서 의지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남녀 관계에서는 설레임 또는 마음 속으로 맘에 든다 라는 느낌이 들 때다. 단순히 편한 사이가 아닌 활동을 같이하고 함께 있고 싶어한다. 만나면 즐겁다. 편하고 설레임이 가득한 관계이니까 우리는 사랑이라고 부른다. 하지만 이런 관계에서는 신뢰만큼 중요한 것이 의무다. 냉정하게 말해서 서로 한 발자국만 떨어져도 이전에 있던 믿음은 온데 간데 없이 남남이 될 수..

IDE

8개월 동안 개발을 배우면서 궁금한 점이 처음에 이클립스,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비쥬얼 스튜디오 등등 파일이 왜 이렇게 다양하고 많은지 궁금하였다. 그리고 왜 이렇게 많아야하는지도 궁금하였다. 위에서 말한 파일들을 IDE라고 한다. IDE는 통합 개발 환경이라고 번여된다. 쉽게 말해서, 개발을 하기 위한 모든 것들을 제공해주는 환경이라고 한다. IDE도 PPT, 한글들도 표만들기, 글씨 음영, 자간 조절 등 역활을 한다. 코딩에 필요한 기능을 이 IDE에 들어 있으며 그 기능들을 통해 쉽게 코드를 만들 수 있다. 참고 : 비전공자를 위한 이해 할 수 있는 IT 지식

컴퓨터 원리 2020.06.22

커뮤니케이션

[IT 기획자] 비전공자인 내가 8개월 개발과정을 마치고 현업에 가니 제일 중요한 것은 커뮤니케이션이었다. 코딩실력도 중요하고 DB 설계나 짜는 것도 필요하지만 중요도는 커뮤니케이션이었다. [그러면 IT는 왜 커뮤니케이션을 강조하는가?] IT 서비스를보면 IT 분야는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처럼 변화의 속도가 빠르다. 당연히 오늘 완제품을 고객에게 줘도 내일 다른 기능이 필요하다고 한다. IT 개발은 점진적 발전으로 고객의 니즈와 회사의 사정에 따라 서비스가 계속 발전되어 나간다. => 서비스가 발전하는 이 흐름을 기획이라고 한다. 따라서 IT 개발자에게 제일 필요하고 중요한 것은 커뮤니케이션이다. 그래서 비전공자 개발자에게 필요한 것은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IT 지식이다. 이 지식이 없으면, 같은 개발자와..

커뮤니케이션 2020.06.21

DIV & STATIC

1. DIV = 하나의 화면을 여러 부분으로 분할해서 구성해야하는 경우 사용함 [특징] 1) 구분되는 화면의 경계선 표시 2) FORM 재활용 가능 3) 영역 크기 조절 가능 2. STATIC = 화면의 텍스트 정보를 출력하는 수단 [특징] - 화면에 보여주는 기능만 한다. 3. COMBO = 여러개 행 중 하나를 선택하여 이벤트를 낼 수 있다. 4. CALENDAR = 달력을 만들어 DATE함수를 이용해 생성할 수 있다. EX) var arr = new date() : 기본함수로 오늘 날짜를 호출한다.

1+1=2?

에디슨은 "물방울끼리 뭉치면 하나가 되는데 왜 2입니까" 라는 질문을 한다. 가장 어리석은 질문에 수학자들은 수십년 동안 논쟁을 하였다. 인간의 삶은 비슷하며 생활양식도 기후, 지형, 위치에 따라 차이가 나지만 인간이라는 속성은 변하지 않는다. 그래서 서양과 동양과 비슷한 수학공식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동양은 수학을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분야로 한정지었다. 서양은 반대로 피타고라스 정리를 이용하여 기하, 백터 등 실생활에 당장 필요하지 않을 것 같은 일반화 시도를 하였다. 현대와는 정반대로 서양과 동양은 다르게 수학에 접근하였다. 왜 그렇게 된 것일까? [플라톤] 사실 동양과 서양의 차이는 철학이 다르다는 것이다. 즉, 출발선이 달랐기에 결과도 달랐다는 결과론적인 이야기다. 그 중심엔 플라톤이 있..

컴퓨터 원리 2020.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