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54

4] 엔티티 타입, 통합? 분리?

1. 엔티티타입 통합의 장, 단점 6가지 1] 성능 - 효과 : 좋아짐 현상, 나빠짐 현상 모두 존재 - 특징 1. 장점 = 조인 발생을 최소화하여 성능 저하를 예상 가능 (정보가 한 군데에 집약됨) 2. 단점 = 대량의 데이터가 한 군데에 존재할 경우, 트랜젝션의 집중 현상과 데이터량 증가로 인해 성능 저하가 나타남 - 고려요소 1. 정보의 양이 대용량 2. 트랜젝션이 집약된 정보에 집중될 거라 예상시 => 엔티티타입 분리가 바람직함 2] 속성 제약 - 효과 : 나빠짐 - 특징 1. 고유한 속성의 제약조건을 걸지 못함 2. 제약조건을 컬럼에 걸지 못함 - 고려요소 : 어플리케이션에서 모두 체크 해야함 3] 유연성 - 효과 : 나빠짐 - 특징 * 분리시, 각각의 엔티티 타입별로 다른 엔티티타입과 가질 수..

3] 이력 유형 데이터 모델링

1. 이력유형 - 시간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 형식 - 동일한 컬럼에서 발생 - 대량 데이터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 성능에 영향을 주는 경우가 많다. 2. 변경이력, 최신이력 관리하기 1) 최신여부 컬럼이 없을 경우 = 인라인뷰의 그룹 함수를 사용해 최근에 변경된 값을 가져오므로 성능저하 현상이 일어남 2) 최신여부 컬럼을 생성할 경우 = where 절에서 바로 최신값을 판단하므로 성능이 향상됨 => 인라인 뷰보다 where 조건절이 더 나은 것 같다. 출처 : 아는만큼 보이는 데이터베이스 설계와 구축

2] 식별자와 비식별자 관계 설정

1) 식별자관계만 이용하여 데이터 모델링을 전개할 경우 = PK 속성의 숫자가 증가 할수록 관련된 SQL 구문이 복잡해져 복잡성으로 인한 개발오류 유발 2) 비식별자관계만 이용하여 데이터 모델링을 전개할 경우 = 데이터간 과다 조인을 유발하여 성능저하를 일으킴 3) 해결법 = 위의 오류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 1. 데이터 모델 관계 도출시, 식별자 / 비식별자관계의 의미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업무적 특징, 조인관계, pk 구성을 고려하여 결정하기. 4) pk구조 영향 받는 사실 = 식별자끼리만 연결시 pk 속성의 수 증가 5) 비식별자끼리로만 연결시 문제점 1. 테이블 마다 중요한 기준속성이 있다. -> 부모 엔티티타입에 있는 pk 속성에서 자식 엔티티타입에 존재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 이것이 비식별자..

1) 자바란?

1. 운영체제에 독립적 = 자바는 운영체제에 상관없이 JVM에 종속적이라 어디서나 동일하게 실행된다. -> Write Once, run anywhere (한번 작성하면 어디서나 실행된다.) 2. 객체 지향언어 = 재사용성 / 생산성 / 유지보수 향상 3. 자동메모리 관리(Garbage Collection) = 가비지 컬렉터가 자동적으로 메모리를 관리함으로 프로그래머가 따로 관리할 필요가 없다. 4. 멀티쓰레드 지원 = 동시에 여러가지 작업을 할 수 있다. 5. 동적 로딩 = 필요한 시점에서 클래스르 사용할 수 있으며, 일부 클래스가 변경되어도 전체 어플리케이션을 다시 컴파일할 필요가 없다. 6. 배우기 쉽다 = 자바의 연산자 + 기본구문 : C++ / 객체지향 관련구문 : samll talk에서 가져옴 ..

자바 정리함 2020.08.10

주식 이야기

1. 주식이란? = 회사 소유권을 나타내는 종이 조각 * 세는 단위 : 주 * 주식을 가진자 : 주주 - 고스피 = 백화점 / 코스닥스 = 동대문 시장 -> 지수가 오르면 주식가격이 올랐다. 2. 시가총액 = 회사 주식의 가격 (현재가격) EX) 1000주 * 가격 10,000원 = 10,000,000 -> 1조원 이상 : 대형주 / 작은건 중소형주 3. 규칙 1) 거래시간 : 9시~3:30분 2) 3:20~3:30 : 동시호가 라는 가격 접수 진행 -> 동시호가 : 모든 가격을 접수받고 만족시킬만한 대표 가격을 산출 3) 시간외 단일가 : 축구의 추가시간처럼 4~6시까지 10분 간격으로 거래가능 4) 상,하한가 : 전날 가격대비 +- 30%로 제한 * 시가 : 시작가격 * 고가 : 가장 높은 가격 * ..

투자이야기 2020.08.09

1] PK 컬럼 순서

1. 데이터베이스 생성 프로세스 * 분석 -> 설계 -> 구축 -> 테스트 -> 이행 2. pk 컬럼 순서 무시할 경우 => pk 컬럼은 group by 한 컬럼들 전부 넣거나 중복없는 명확한 구분자가 필요하다 1) 인덱스 구성에서 의도하지 않은 순서의 Primary Key Unique Index가 생성 * Unique Index : 해당 칼럼 동일값 X / 인덱스 자동생성 / NULL 삽입 가능 Primary Key : Unique Index + NOT NULL, 2) 조회 sql시 성능저하 3) 많은 인덱스가 생성되어 불필요한 내부 작업이 증가해 성능에 악영향 3. PK구성과 인덱스 이용 = where 절에서 프로그램처럼 순서대로 읽기에 1순위 컬럼과 2순위 컬럼 등으로 구분이 된다. 같은 조건이라도..

시간에 따른 인간 유형

1. 현재를 보고 사는 사람 : 현재 즐기는 삶 2. 미래를 보고 사는 사람 : 미래를 꿈꾸는 삶 3. 과거를 보고 사는 사람 : 왕년에 말이야 형 ​ 짐바르드 교수의 time paradox에서 시간관에 따라서 사람의 행동이 바뀐다고 한다. 이 행동이 곧 인생이 된다. ​ 과거 - 과거 부정관 / 긍정관 1. 과거 부정관 - 부정적인 사고방식과 부정적인 기억을 자주 떠올림 (낮을수록 좋다) 2. 과거 긍정관 - 과거 긍정적인 경험, 역경을 이겨낸 일화를 어느정도 미화하는 태도. / 아름다운 일화를 자주 떠올림 (높을 수록 좋다) 현재 - 현재 숙명 / 괘락관 3. 현재 숙명관 - 운명을 믿는 시간관 / 일어날 일은 일어날 뿐이다. (낮은게 좋다) 4. 현재 쾌락관 - 충동적, 우발적 행동을 통해 쾌락을 ..

나의 이야기 2020.08.06

도파민 정리

1. 인간은 아래를 볼때나 자기 손에 있는 것을 볼땐 투자가 적어서 가볍게 생각한다. (안정/ 개인공간) 2. 인간은 하늘을 볼때나 자기 손 밖에 있는 것들을 볼땐 투자가 높아진다. (흥분 / 기대감 / 외부공간) -> 또한 하늘을 우러러보며 신에게 구원의 기도를 하는 것도 동일하다. 그리고 이 두 세상을 완전히 다르게 대한다. 도파민은 인간이 아무리 많이 가져도 늘 부족함을 느끼는 욕심쟁이로 만든다. -> 그래서 우리르 계속 더더 하고 외치게 만든다. 이 도파민은 창의력과 광기의 원천이 되고 중독의 지름길이자 중독에서 벗어나는 열쇠기도 하다. 3. 도파민 인간 :more을 좋아하고 무언가를 욕망하고 더 잘 중독되고 성취하는 것에서 인생의 목표를 찾는 인간유형. 이렇게 도파민을 알차게 활용하는 동물은 인..

나의 이야기 2020.08.06

대화 기본

[ 적어도 남들 앞에서 얘기를 잘 할 수 있는 척도 ] 1) 자기 어필 욕구 없음 -> 기대에 부응하려고 너무 나가지 말기 (니디) -> 우위에 서지 않기 -> 커버치려고 나서지 말기 -> 대화의 주제는 상대 : 상대의 말은 상대 입장에서 봐야한다 : 내가 이야기할때는 상대의 감상에 반응할때 -> 빨리 말하려고 하지마라! 빨리 말할땐 탬포가 높고 예능일시 -> 예능도 3번이상 말하려하지 마라. -> 아는 주제면 살을 붙이고 모르는 주제면 물어라. : 자기 주제로 끌고 들어가려하지 마라(뜬금없이 화제 바꾸지 말기 ) ​ 2) 대화가 게임이라는 점을 인식 (분위기 파악) -> 잡담 / 대전형 게임이 아님 / rpg게임이다! -> 빠른 게임 : 예능(텐션이 높다) -> 상대를 궁지에 넣는 주제는 피하기 (쉽게..

커뮤니케이션 2020.08.06

4. 정보는 효과적으로 수집

1. 목적에 따라 방법은 달라진다. [4가지 방법] 1) 정보수집을 스킬로서 배워야할 필요성을 느낌 2) 가치가 있는 정보 파악 3) 정보수집의 접근 방법을 배움 4) 정보 수집의 요령을 습득 2. 정보 수집 과정 (5가지) 1) 목적과 배경을 알아야 2) 말아야할 것이 무엇인지 명확히 파악 3) 정보원을 정확하게 알아야 4) 전체 파악 5) 다양한 관점으로 수집 3. 정보 수집 요령 터득 1) 효율적인 작업 프로세스 2) 정량, 정성 정보를 나누어 사용 3) 공개 정보의 가치를 조금이라도 높이기 4. 정량, 정성 정보 1) 정량 정보 : 숫자를 활용함으로써 설득력을 높인다 2) 정성정보 : 잡지의 기사, 문헌 등을 사용함으로써 전체 이해도를 높인다. 5. 정보수집요령 포인트 1) 작업을 시작 전, 목적..

커뮤니케이션 2020.0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