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54

SQL 기본 이해

1. SQL (구조화된 쿼리 언어) = 자료 저장 방식 EX) 메모장에 기록하는 방식 2.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 표로 관리하는 체제 -> 각 열의 이름을 정해놓고 안에 내용을 계속 수정할 수 있게 구성 : 가장 위의 줄은 각 열의 이름이다. 3. SELECT 선택하기 : [월] 어디서 : [00고등학교] 어떤 조건 : [차시] = 4 -> SQL 언어로 표현 : SELECT [월] FROM [00 고등학교] WHERE [차시] = 4 4. DELETE 삭제하기 : [화] 어디서 : [00 고등] 어떤 조건 : [차시] = 6 -> SQL 언어 : DELETE [화] FROM [00 고등] WHERE [차시] = 6

DB 이야기 2020.12.11

비교하기 + 연산자 종류

* 같은 타입끼리 연산이 가능하다! * 단항연산자 (++ / -- / + / - / ~ / !) * 대입연산자 (+= / -= 등)=>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연산된다. * 쉬프트 연산자1) X 2) X >> N은 x/2의 n승의 결과와 같다. * 비트연산자 ( DB의 where 절 같은 것 )- | (or 연산자) : 둘 중 하나라도 1이면, 1을 결과로 얻고 그 외에는 0을 얻는다.- & (and 연산자) : 둘 다 모두 1이면, 1을 결과로 얻고 그 외에는 0을 얻는다.- ^ (xor 연산자) : 값이 서로 다를 경우에만 1을 결과로 얻는다. 서로 같을 경우에는 0을 얻는다. * 삼항연산자= 참, 거짓이 있을 경우에 주로 사용-> 조건이 참일 경우에는 if문을 사용한다. => 조건 없으면 ..

자바 정리함 2020.12.02

[프로그램이란]

1. 개발자의 실수= 프로그램의 용어정의를 잘못 잡고 시작하는 것이다.  2. 프로그램을 문제해결능력으로 바라본다!1) 개발자는 A라는 출발점에서 문제를 정의한다 2) 개발자가 해야하는 건 B까지 가는 경로를 찾는 것이다. 3. 넓은 의미, 좁은 의미의 프로그램1) 좁은 의미= 대다수가 코딩이라고 불리는 의미. / 해결하는 코드를 작성하는 것 2) 넓은 의미= 코딩이 프로그램의 일부에 불과함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는 더 거대한 요구분석 / 시스템 디자인 / 수용성 테스트 등 다양한 활동을 포함한다.-> 사용자와 다양한 커뮤니케이션과 협업이 필요하다.=> 이는 좋은 코드를 짜는 것 이상의 기술이 필요하다.  4. 변수사용1) 가능하면 지역변수 적게  쓰기2) 파라미터도 가능하면 값 전달 보다 참조 전달 쓰..

개발자이야기 2020.12.01

업무 룰

0. 문제해결능력 blog.daum.net/whop369/167?category=1762562 1. 문제 해결력 1. 로지컬 씽킹 습득 로지컬 씽킹의 기초 베이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학 로직을 사용한다고 한다. 즉, A=B, B=C, A=C를 사용한다. 주의할 점은 여기에 들어가는건 단순히 단어가 아닌 명제이자 blog.daum.net 0-1. 정량적 평가 = 내가 해야될 일의 양을 체크해서 인원 충원이나 기한을 늘려 달라든지 등 판단이 가능하다. 0-2. 정성적 평가 = 내가 해야될 본수의 %로 수치화해서 언제 끝나는지 생각해보기 1. 해석 개발자와 코더의 차이는 고객이 원하는 업무를 아는 것과 모르고 코딩만 하는 차이가 있다. 개발자가 되고 싶으면 업무를 알고 고객이 원하는 것을 알아야한다. -> ..

개발자이야기 2020.11.24

이클립스

1) 개발, 프레임워크 - 개발 툴 = 메이븐, 이클립스 - 프레임워크 = 스프링, 마이바티스 2) 이클립스 구성 - 뷰 : 패키지, web.xml, 콘솔, 서버 - 퍼스펙티브 : 자바ee 등 3) 이클립스 기능 - 임포트 = package explor -> import -> exasting projects into worksapce - 한글 = 프로젝트 우클릭 -> resource -> other -> utf-8 - java build path problem = 해당 클래스 패스 컨테이너를 찾지 못해 발생하는 에러 * 에러 우클릭 -> quick fix -> configure build path -> finish jre 새로 추가 - 모듈 패스 설정 = 톰켓 더블클릭 -> 모듈 -> web module..

컴퓨터 원리 2020.11.22

자바 제어자

1. 접근 제어자 1) private = 지역변수와 같이 클래스 내부에서만 사용 가능 2) public = 제한 없이, 전역변수처럼 사용가능 3) default= 같은 패키지 안에서만 사용 가능 4) protected= 다른 패키지의 일반 클래스를 제와한 나머지에게 허용 (다른 패키지 자식 클래스에게도 가능) 2. 수정 제어자final - 값을 변경할 수 없는 제어자- 클래스 앞에 붙으면 상속이 불가능ex) public final class kakadhi- 메소드 앞에 붙으면 오버라이딩 불가능 3. 소유 제어자static - 메소드 앞에 붙으면 this, super 사용불가- 다른 객체에게 공유가능, 메모리에는 한개만 생성- 지역변수로는 사용불가- 멤버와 메소드에서만 사용가능 4. 추상 제어자=..

자바 이야기 2020.11.10

변수 설정

[핵심 포인트] 1. RAM : 값을 저장할 수 있는 주소들로 구성됨 2. 변수 사용 : 메모리를 어디에 어떤 방식으로 저장할지 미리 정해둔다. -> 변수를 통해 하나의 값만을 저장하고 읽을 수 있다. -> 변수를 통하여 출력물이나 연산식을 수행한다. 3. 변수 선언 -> 타입 + 이름 = 값 을 지정하고 생성가능하다. 4. 변수명 규칙 4) 미리 지정된 이름을 변수명으로 지정불가 5) 변수명 길이의 제약은 없다. 5. 변수 초기화 = 메모리에 변수를 생성하고 값을 미리 넣는다. 6. 상수 = 고정된 값으로 절대 변하지 않는 값을 의미한다. A=B+1; -> 1이 상수이며 프로그램 상 바꿀 수 없다. - 변수를 상수로 만드는 법 : FINIAL INT A = 0; : 이 변수는 무조건 0이다. 7. 변수..

자바 이야기 2020.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