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케이션 6

대화 기본

[ 적어도 남들 앞에서 얘기를 잘 할 수 있는 척도 ] 1) 자기 어필 욕구 없음 -> 기대에 부응하려고 너무 나가지 말기 (니디) -> 우위에 서지 않기 -> 커버치려고 나서지 말기 -> 대화의 주제는 상대 : 상대의 말은 상대 입장에서 봐야한다 : 내가 이야기할때는 상대의 감상에 반응할때 -> 빨리 말하려고 하지마라! 빨리 말할땐 탬포가 높고 예능일시 -> 예능도 3번이상 말하려하지 마라. -> 아는 주제면 살을 붙이고 모르는 주제면 물어라. : 자기 주제로 끌고 들어가려하지 마라(뜬금없이 화제 바꾸지 말기 ) ​ 2) 대화가 게임이라는 점을 인식 (분위기 파악) -> 잡담 / 대전형 게임이 아님 / rpg게임이다! -> 빠른 게임 : 예능(텐션이 높다) -> 상대를 궁지에 넣는 주제는 피하기 (쉽게..

커뮤니케이션 2020.08.06

4. 정보는 효과적으로 수집

1. 목적에 따라 방법은 달라진다. [4가지 방법] 1) 정보수집을 스킬로서 배워야할 필요성을 느낌 2) 가치가 있는 정보 파악 3) 정보수집의 접근 방법을 배움 4) 정보 수집의 요령을 습득 2. 정보 수집 과정 (5가지) 1) 목적과 배경을 알아야 2) 말아야할 것이 무엇인지 명확히 파악 3) 정보원을 정확하게 알아야 4) 전체 파악 5) 다양한 관점으로 수집 3. 정보 수집 요령 터득 1) 효율적인 작업 프로세스 2) 정량, 정성 정보를 나누어 사용 3) 공개 정보의 가치를 조금이라도 높이기 4. 정량, 정성 정보 1) 정량 정보 : 숫자를 활용함으로써 설득력을 높인다 2) 정성정보 : 잡지의 기사, 문헌 등을 사용함으로써 전체 이해도를 높인다. 5. 정보수집요령 포인트 1) 작업을 시작 전, 목적..

커뮤니케이션 2020.08.05

3. 환경을 이해하기

1. 주변을 둘러싼 환경을 이해하기 = 전체를 본 후 세부적인 내용으로 [순서] 1) 거시적인 관점에서 시작 (전체를 봄) 2) 미시적인 것을 보는 것 ex) 글로벌 -> 국내 -> 시장 -> 회사 2. 경쟁 환경의 중요성을 파악하라 [순서] 1) 경쟁상대가 누구인지 파악 2) 진입 기업의 평균적인 수준을 보고 구조를 이해 3ㅋ) 우량 기업의 대응방법 이해 3. 성과물의 가치를 높힌다 = 보다 나은 퀄리티로 만든다. (도전!) 4. 정리 5단계 1) 요점을 3가지 정도로 정리하는 습관. 2) 하상 결론 중심으로 생각한다. -> 핵심이 무엇인가? 3) 듣는 사람의 특성에 따라 보고 방식을 다르게 한다. 4) 받아들이는 입장에서 알기 쉽게 하는 것이 중요. 5) 요약한 텍스트와 그것을 증명하는 차트를 포함시..

커뮤니케이션 2020.08.04

2. 실천 문제 해결

1. 문제 해결이란? = 본질적인 문제를 발견하지 못한다면, 아무리 문제 해결을 시도해야 성공할 수 없다! 1. 문제 해결의 기본을 이해하는 것 = 전체를 머릿속에 그린 뒤 세부적인 것으로 나아가는 것이 이해하기 쉽다. EX) 조직도, 업무 구성도 등 2. 문제를 둘러싼 환경을 이해하는 것 = 전체에서 세부로 내려가면서 어떤 것들을 생각하면 되는가와 같은 방법이 좋다고 한다. 3. 효과적인 정보 수집 방법을 배워야한다. = 업무 프로세스나 전체 업무를 파악할 수 있는 자료가 필요하다. 4. 데이터를 차트화 = 한눈에 보기 편하게 하여 생각을 쉽게 도와준다. 5. 프레임워크를 완벽하게 구사하는 것이다. = 틀을 만들어서 수집된 정보와 데이터가 너무 많아서 그 가운데서 찾아낸 것이 너무 막연해 의미 파악이 ..

커뮤니케이션 2020.08.01

1. 문제 해결력

1. 로지컬 씽킹 습득 로지컬 씽킹의 기초 베이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학 로직을 사용한다고 한다. 즉, A=B, B=C, A=C를 사용한다. 주의할 점은 여기에 들어가는건 단순히 단어가 아닌 명제이자 하나의 문장으로 생각한다. 어학과 IT는 지식이 아니라 일을 하기 위한 수단이다. 그 자체는 하나의 도구로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만 있으면 된다. 따라서 어학과 IT의 교육은 생활의 일부로서 매일같이 사용하는 것을 가장 중시해야한다. 즉, 21세기는 지식이 많은 사람보다 로지컬 씽킹의 회로를 확립하고 어학과 IT를 습득한 사람이 절대적으로 강하다! 2005년에 나온 책치고 상당히 미래를 잘 알고 쓴 것 같은 느낌을 받았다. 내가 IT 직종에 있으면서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을 쓴 글이 있는데 마치 미래를 보고..

커뮤니케이션 2020.08.01

커뮤니케이션

[IT 기획자] 비전공자인 내가 8개월 개발과정을 마치고 현업에 가니 제일 중요한 것은 커뮤니케이션이었다. 코딩실력도 중요하고 DB 설계나 짜는 것도 필요하지만 중요도는 커뮤니케이션이었다. [그러면 IT는 왜 커뮤니케이션을 강조하는가?] IT 서비스를보면 IT 분야는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처럼 변화의 속도가 빠르다. 당연히 오늘 완제품을 고객에게 줘도 내일 다른 기능이 필요하다고 한다. IT 개발은 점진적 발전으로 고객의 니즈와 회사의 사정에 따라 서비스가 계속 발전되어 나간다. => 서비스가 발전하는 이 흐름을 기획이라고 한다. 따라서 IT 개발자에게 제일 필요하고 중요한 것은 커뮤니케이션이다. 그래서 비전공자 개발자에게 필요한 것은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IT 지식이다. 이 지식이 없으면, 같은 개발자와..

커뮤니케이션 2020.0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