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문제 해결이란?
= 본질적인 문제를 발견하지 못한다면, 아무리 문제 해결을 시도해야 성공할 수 없다!
<문제 해결자가 되기 위한 5단계 과정>
1. 문제 해결의 기본을 이해하는 것
= 전체를 머릿속에 그린 뒤 세부적인 것으로 나아가는 것이 이해하기 쉽다.
EX) 조직도, 업무 구성도 등
2. 문제를 둘러싼 환경을 이해하는 것
= 전체에서 세부로 내려가면서 어떤 것들을 생각하면 되는가와 같은 방법이 좋다고 한다.
3. 효과적인 정보 수집 방법을 배워야한다.
= 업무 프로세스나 전체 업무를 파악할 수 있는 자료가 필요하다.
4. 데이터를 차트화
= 한눈에 보기 편하게 하여 생각을 쉽게 도와준다.
5. 프레임워크를 완벽하게 구사하는 것이다.
= 틀을 만들어서 수집된 정보와 데이터가 너무 많아서 그 가운데서 찾아낸 것이 너무 막연해 의미 파악이 어려울 경우 해결책은 틀에 넣는 것.
2. 문제 해결에 필요한 스,킬을 이해하라
<스킬의 기본 3가지>
= 문제 해결은 프로세스에 따라 시행한다.
1) 해결 목적과 달성해야할 목표를 설정한다.
2) 목표 달성을 위한 본질적인 문제를 발견
3) 문제 해결의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한다
4)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 하는 것이 문제 해결의 프로세스다.
<3가지 프로세스>
= 문제의 발견은 정보를 수집 / 분석 / 정리+통합으로 구성된다.
<문제 발견의 3가지 과제>
1) 어떤 정보를 수집할 것인가?
2) 그 중에서 어떤 발견을 할 것인가?
3) 그것을 어떻게 요약할 것인가?
3. 문제해결을 위한 4가지 프로그램
1] 필요한 정보를 구분한다.
-> 프로그램은 문제를 둘러싸고 있는 주변 환경을 이해
-> 프로그램은 효과적인 정보 수집 방법이다.
2] 그 의미를 이해(분석)해야한다
-> 데이터를 차트로 표현
3] 핵심이 무엇인지 이해한다
-> 프로그램은 프레임워크로 생각하는 것이다.
참고 : 맥킨지 문제 해결의 기술
'커뮤니케이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화 기본 (0) | 2020.08.06 |
---|---|
4. 정보는 효과적으로 수집 (0) | 2020.08.05 |
3. 환경을 이해하기 (0) | 2020.08.04 |
1. 문제 해결력 (0) | 2020.08.01 |
커뮤니케이션 (0) | 2020.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