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전공자를 위한 이해 할 수 있는 IT 지식 8

웹이란?

1. 웹 종류 1) html (hyper text markup language) = 웹 문서를 연결해주는 역할! - 팀 버너스라는 연구소 직원들이 서로 다른 운영체제와 프로그램 때문에 만듬 - html은 프로그래밍 언어가 아니다. - 브라우저에서 볼 수 있는 문서를 적는 언어 - 다양한 분야에서 게임, 앱에서 활용이 된다! - 블록처럼 코드로 만든다 - 역할에 따라 구역을 나눈다 (세션을 나눈다) == 보여주는 정보가 다르다 => 서버에서 바뀌는 것이 아니면, 다운받은 html을 수정해서 결과만 바꿨을 뿐이다. 2) css (Casscading Style Sheets) = html에서 디자인 기능이 없어서 만듬 => 이 2가지를 합쳐서 퍼블리싱 작업이라고 한다. 3) javascript = 위의 2개로 ..

컴퓨터 원리 2020.06.28

POST & GET

1. API = 메시지를 달라는건지 로그인 시켜달라는 요청인지 구분할 수 있는 체계 : API는 앱과 기기가 원활하게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즉 API는 애플리케이션과 기기가 데이터를 원활히 주고받을 수 있도록 중간 매개체 역할을 해주는 셈 - 요청 보내는 쪽 : 클라인언트- 응답을 주는 쪽 : 서버  *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2. CRUD = 요청의 요소로 4가지로 구분된다.  [특징]1) CREATE = 올리는 요청 EX) 타임라인에 사진을 올리기 2) READ= 불러오는 요청  3) UPDATE= 새로운걸로 바꾸는 요청 4) DELETE= 지우는 요청  [특징]1. CRUD 각각의 주소가 필요하다. (중요!)2. 서버의 기..

컴퓨터 원리 2020.06.27

서버와 클라이언트

만약 수 많은 사람들이 동시에 뭔가를 보내달라고 신호를 보내면 어떨까? 컴퓨터는 힘들어서 죽습니다. 신호가 몰리면, 메모리의 공간을 모두 소진하거나 / CPU가 처리할 수 있는 한계를 넘어섬 1. 서버 (요청) = 파일을 달라고 계속 보채는 컴퓨터 - 24시간 365일 동안 안정적으로 돌아가는게 중요! 2. 클라이언트 (응답) = 파일을 주는 컴퓨터 EX) 프론트앤드 :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다른 말 참고 : 비전공자를 위한 이해 할 수 있는 IT 지식

pc 등장

pc (personal computer) = 컴퓨터는 서버를 통해서 다른 컴퓨터를 사용하는 사용자와 만날 수 있다! 1. LAN (local area network) = 컴퓨터가 연결된 작은 지역 2. MAN(meropolitan area network) = 여러개의 LAN을 하나로 연결하여 생성 3. WAN(wide area network) = 도시와 나라들을 모두 연결하여 생성 EX) 카카오톡을 다운로드하고 실행하면 일어나는 일 앱스토어 -> 카카오톡 검색 -> 다운로드 버튼 -> 기지국으로 신호가 감 (신호는 WAN을 따라서 이동) -> 애플의 컴퓨터 -> 저장되어 있던 카카오톡 파일을 전송 -> 보조기억장치에 카카오톡 실행파일 저장 -> 카카오톡 아이콘을 누르면 필요한 부분이 메모리로 올라옴 ->..

컴퓨터 원리 2020.06.26

컴퓨터 구성요소

1. 머리 부분 : cpu -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음 - 데이터의 연산, 처리 기능 담당 2. 메모리 - 창고역할을 하는 곳이 느려서 CPU 개인 작업 공간으로 메모리를 만듬 - CPU는 필요한 정보를 창고에게 요청하지 않앋도 된다. - CPU가 원하는 자료를 창고에서 메모리로 옮겨놓고 메모리 안에서 작업 가능 3. 창고역할 : HDD(하드디스크) / SSD(보조기억장치) -> 전원이 꺼져도 데이터는 남음 - 데이터를 저장하는 곳 - CPU에게 데이터를 주며 CPU보다 속도가 느리다. EX) 작동 방법 1. 화면 밖 아이콘 클릭 : 바로가기는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이다. 2. 실행이 되면 CPU가 작동하고 있음을 의미 3. 실행 중이라고 대기하는 것은 보조기억장치에 있는 데이터를 메모리에 옮기는 ..

컴퓨터 원리 2020.06.25

컴퓨터 구조

인간은 자신들의 환경, 공간, 물질 등으로 수준을 비교하고 잣대를 만들었다. 컴퓨터도 이러한 수준이 있다. 처음 들었을 때는 무슨소리인가 싶었지만 이내 설명을 들으니 무릅을 칠 수 밖에 없는 수준이었다. 먼저, 저수준 언어는 컴퓨터와 친화적 언어다. 즉, 컴퓨터가 이해하기 쉬우며 인간은 분석이 쉽지 않다. ex) 기계어, 어셈블리어 고수준에 언어는 인간이 이해하기 쉬운 언어다. 즉, 인간의 언어에 가깝고 인간이 이해하기 제일 쉽다. ex) 자바, c, c++ 등 컴파일러 언어 하지만 문제가 있다. 바로 비용이다. 컴퓨터 사양을 낮추어서 비용을 낮추고 싶은 사람들도 있다. 참고 : 비전공자를 위한 이해 할 수 있는 IT 지식

컴퓨터 원리 2020.06.25

IDE

8개월 동안 개발을 배우면서 궁금한 점이 처음에 이클립스,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비쥬얼 스튜디오 등등 파일이 왜 이렇게 다양하고 많은지 궁금하였다. 그리고 왜 이렇게 많아야하는지도 궁금하였다. 위에서 말한 파일들을 IDE라고 한다. IDE는 통합 개발 환경이라고 번여된다. 쉽게 말해서, 개발을 하기 위한 모든 것들을 제공해주는 환경이라고 한다. IDE도 PPT, 한글들도 표만들기, 글씨 음영, 자간 조절 등 역활을 한다. 코딩에 필요한 기능을 이 IDE에 들어 있으며 그 기능들을 통해 쉽게 코드를 만들 수 있다. 참고 : 비전공자를 위한 이해 할 수 있는 IT 지식

컴퓨터 원리 2020.06.22

커뮤니케이션

[IT 기획자] 비전공자인 내가 8개월 개발과정을 마치고 현업에 가니 제일 중요한 것은 커뮤니케이션이었다. 코딩실력도 중요하고 DB 설계나 짜는 것도 필요하지만 중요도는 커뮤니케이션이었다. [그러면 IT는 왜 커뮤니케이션을 강조하는가?] IT 서비스를보면 IT 분야는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처럼 변화의 속도가 빠르다. 당연히 오늘 완제품을 고객에게 줘도 내일 다른 기능이 필요하다고 한다. IT 개발은 점진적 발전으로 고객의 니즈와 회사의 사정에 따라 서비스가 계속 발전되어 나간다. => 서비스가 발전하는 이 흐름을 기획이라고 한다. 따라서 IT 개발자에게 제일 필요하고 중요한 것은 커뮤니케이션이다. 그래서 비전공자 개발자에게 필요한 것은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IT 지식이다. 이 지식이 없으면, 같은 개발자와..

커뮤니케이션 2020.0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