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54

sm과 si의 개발자의 차이

1. SM = System Management의 약자로 시스템 운영 또는 유지보수. 즉, 구축된 시스템을 사용하면서 개선사항이나 오류사항에 대해 유지보수하는 것을 의미한다. 간단하게, 사용자가 편하고 안정적이게 사용할 수 있게 지원해주는 업무를 말한다. [특징] 1) 회계, 시설물 등 업무 지식도 필요하며 코딩능력 뿐만 아니라 전체 시스템이 흘러가는 걸 파악하는 통찰력도 필요함 2) 장기적으로 맡아서 함 3) 순수 it 기술만 사용하는 깊은 지식을 쌓기엔 부족함 2. SI = System Integration의 약자로 전산시스템을 필요한 곳으로 하청을 받아 기획, 개발, 유지보수, 운영을 대신 해주는 곳을 말한다. [사업과정] 입찰 -> 제안 -> 금액 계산 -> 기술협상(추가 요구사항) -> 수행 [특..

개발자이야기 2020.07.08

배열에 추가 및 제거

1. 배열에 추가하기 1) push = push와 비슷한 concat도 있지만 먹히지 않았음. push를 쓰기 권장함. * 간략 프로젝트 = 문자열을 분리해 배열 만들기 2) unshift = 배열 맨 앞에 추가하는 함수 3) Splice 1 - 배열 맨 뒤에 추가하는 함수 / 추가하기 2 - 중간의 값을 조절하여 대체를 할 수 있다. 2. 배열에서 제거하기 1) shift 2) pop = 배열 마지막 부분 제거 3) sort = 배열 정렬하기 ex) 입력받은 문자열 정렬 4) reverse = 배열을 반대로 정렬하기 * 입력받은 문자열을 중복을 제거한다. 2차원 배열

돈이 되는 데이터

1. 데이터가 자산이 되는 데이터 경제 = 데이터 경제는 2011년 데이번 뉴빗이란 분이 사용한 개념이며, 아직 공식적이 개념은 아니다. 데이터 경제는 데이터의 활동이 중요 생산요소가 될 것이라는 경제구조 논리다. 왜냐면, 데이터를 가공하고 분석하는 일이 기업의 중요한 미래 자산이라는 점 때문이다. ex) 산업시대의 석탄과 석유를 잘 활용한 국가가 강대국이 되었듯이 이제는 데이터를 잘 활용하는 국가가 강대국이 될 것이라는 점이다. 2. 미래는 데이터 경제다 = 구글, 페이스 북, 카카오톡, 네이버, 다음 등 2000년 이후 새로운 분야의 산업이 생기고 새로운 기업이 성장했다. 위의 기업들은 강력한 검색엔진을 통해 세계의 정보를 기반으로 돈을 벌고 있다. 더군다나, 구글은 유투브를 인수하여 동영상 플렛폼을..

컴퓨터 원리 2020.07.04

데이터 디지털화

1. 인공지능 = 인공지능은 인간의 관심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지 않다가 SW 저장장치와 처리장치가 비약적인 발전을 통해 컴퓨터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생겼다. 왜냐면, 데이터 저장장치 발전은 적은 비용으로 많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 처리장치의 발전과 인터넷 속도 증가는 실시간에 가까운 반응을 낼 수 있다. 2. 인공지능에서 데이터의 의미 = 하지만 데이터가 없으면 아무리 성능이 좋아도 무용지물일 뿐이다. 인터넷과 SW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빅데이터가 뜨고 있지만 모든 데이터가 신뢰할 만한지 살펴보아야한다. 따라서, 데이터는 신뢰할만 해야하며, 데이터의 양은 많아야한다! 3. 데이터 디지털화 = 이 글에서 항상 강조는 데이터는 신뢰해야하며, 양도 많아야한다는 것에서 데이터의 디지털화..

컴퓨터 원리 2020.07.04

데이터 정의

1. 데이터란? = 단순히 단어들의 나열을 데이터라고 부르지 않는다. 데이터에게는 데이터 요소와 이와 짝을 이루는 값이 존재한다. ex) 나무 의자(나무라는 요소가 들어간 의자(값)) 2. 데이터 = 그렇다면 1.7미터는 데이터일까? 답은 아니다. 철수의 1.7미터 키라는 것이 데이터다. 철수의 키가 요소이며, 1,7이 값이다. 이렇게 요소와 값이 짝을 이우러야 데이터가 된다. 3. 데이터 요소 = 객체 클래스와 속성으로 구성 사람(철수)이라는 캑체클래스와 키라는 속성으로 구성 4. 데이터 일관성 = 데이터가 일관성이 있으면 데이터가 가지는 신뢰도가 올라간다. 이 데이터는 연구에 사용되기도 한다. 그럼 구체적으로 어떤 데이터가 일관성이 있다고 할까? 위에서 보았던 데이터의 요소와 값에 답이 있다. 데이터..

DB 이야기 2020.07.03

블록체인

1. 블록체인이란?: 나카모토 사토리라는 사람이 2008년 9쪽 짜리 논문으로 블록체인을 주장하였다. 데이터를 블록 단위로 만들어서 저장하는 기술이라 하여 블록체인이라고 한다. => rsa 공개키 암호화 + pow 결합으로 탈중화 화폐 == 비트코인 1-1) 전자화폐에 대한 개념은 1980년도부터 존재했음 1-2) 사토시는 신뢰할 수 있는 화폐를 만들었다는 점이 의의다 2. 비트코인과 가족?: 블록체인을 이야기하면 비트코인도 함께 따라 온다고 한다. 즉, 비트코인과 블록체인은 함께 탄생했기 때문이다. 왜냐면, 사토시가 비트코인을 중앙은행 없이도 가치를 유지할 수 있는 가상화폐를 유지할 수 있는 수단으로 블록체인을 고안하였다. 비트코인이 형, 블록체인이 동생 쯤 되겠다. 3. 블록체인이 필요한 이유: 전..

웹이란?

1. 웹 종류 1) html (hyper text markup language) = 웹 문서를 연결해주는 역할! - 팀 버너스라는 연구소 직원들이 서로 다른 운영체제와 프로그램 때문에 만듬 - html은 프로그래밍 언어가 아니다. - 브라우저에서 볼 수 있는 문서를 적는 언어 - 다양한 분야에서 게임, 앱에서 활용이 된다! - 블록처럼 코드로 만든다 - 역할에 따라 구역을 나눈다 (세션을 나눈다) == 보여주는 정보가 다르다 => 서버에서 바뀌는 것이 아니면, 다운받은 html을 수정해서 결과만 바꿨을 뿐이다. 2) css (Casscading Style Sheets) = html에서 디자인 기능이 없어서 만듬 => 이 2가지를 합쳐서 퍼블리싱 작업이라고 한다. 3) javascript = 위의 2개로 ..

컴퓨터 원리 2020.06.28

POST & GET

1. API = 메시지를 달라는건지 로그인 시켜달라는 요청인지 구분할 수 있는 체계 : API는 앱과 기기가 원활하게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즉 API는 애플리케이션과 기기가 데이터를 원활히 주고받을 수 있도록 중간 매개체 역할을 해주는 셈 - 요청 보내는 쪽 : 클라인언트- 응답을 주는 쪽 : 서버  *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2. CRUD = 요청의 요소로 4가지로 구분된다.  [특징]1) CREATE = 올리는 요청 EX) 타임라인에 사진을 올리기 2) READ= 불러오는 요청  3) UPDATE= 새로운걸로 바꾸는 요청 4) DELETE= 지우는 요청  [특징]1. CRUD 각각의 주소가 필요하다. (중요!)2. 서버의 기..

컴퓨터 원리 2020.06.27

TASK 관리법

[ Task 관리법 ] = 누가(R&R) 무엇을(ACTION ITEM)을 언제까지(DUE DATE) 수행하는지 관리하여 목표(KPI)를 달성하는 것. 1. 누가(R&R(ROLES & RESPONSIBLITY)) 목적 : 일을 누가 주도해서 실행하고 역할에 대한 권한과 책임소재를 분명하게 한다. 이유 : 자기 역량을 충족시킬 수 있는 업무를 맡김으로서 본인의 능력을 체감하고 일의 권한을 주어 어떻게 일을 처리하는지 알 수 있다. * 관리자의 역할은 구성원들의 업무 케파(KPA)를 확인하고 적절하게 담당자를 배정하는 역할. R&R 잘 분배하는 법 1) 필요한 곳에 배치 목적 : 돈과 시간을 투자해서 제대로 된 성과를 내기 위해 적당한 인재를 배치 해야한다. 이유 : 인재등용을 하는 이유이자 일이 많은 사람들..

나의 이야기 2020.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