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적어도 남들 앞에서 얘기를 잘 할 수 있는 척도 ]
1) 자기 어필 욕구 없음
-> 기대에 부응하려고 너무 나가지 말기 (니디)
-> 우위에 서지 않기
-> 커버치려고 나서지 말기
-> 대화의 주제는 상대
: 상대의 말은 상대 입장에서 봐야한다
: 내가 이야기할때는 상대의 감상에 반응할때
-> 빨리 말하려고 하지마라!
빨리 말할땐 탬포가 높고 예능일시
-> 예능도 3번이상 말하려하지 마라.
-> 아는 주제면 살을 붙이고 모르는 주제면 물어라.
: 자기 주제로 끌고 들어가려하지 마라(뜬금없이 화제 바꾸지 말기 )
2) 대화가 게임이라는 점을 인식
(분위기 파악)
-> 잡담 / 대전형 게임이 아님 / rpg게임이다!
-> 빠른 게임 : 예능(텐션이 높다)
-> 상대를 궁지에 넣는 주제는 피하기 (쉽게 대답할 수 있는 주제)
-> 질문 = 구체적으로
-> 잘 듣는게 중요하다 (귀가 2개이고 입은 1개이다)
=> 잘 듣고 상대의 의도를 파악 = 대화를 잘 하는 것
-> 한마디로 이 사람이 어떤 의도로 말하는가?
-> 분위기 올리기 : 놀라기, 재밌어하기, 칭찬하기
-> 말했는데 분위기가 낮으면 바로 환기시키기
3) 대화를 분석할 줄 아는 것
-> 대화 끝난 뒤나 눈치보일때 분석해라
-> 음, 아 등은 상대의 말에 대답하기 어렵거나 얼머무리거 싶을때 사용하기
-> 아니면 아무말도 하지마라
-> 듣는 사람 입장을 고려
-> 단답으로 대답하면 질문하지 말기
기본 : 대화 한마디 한마디의 담긴 의미를 파악하여 그때마다 적절한 기술을 사용함
-> 중요한건 한마디 한마디를 게임으로 이해하기!
8,9할은 정석으로 질릴 수 있으니 정석과 다른(농담 거짓말) 말을 던져서 재밌게 한다.
-> 단, 상대의 분위기가 올랐을때 농담 던지기
4) 농담
= 과장, 왜곡, 단정
'커뮤니케이션' 카테고리의 다른 글
4. 정보는 효과적으로 수집 (0) | 2020.08.05 |
---|---|
3. 환경을 이해하기 (0) | 2020.08.04 |
2. 실천 문제 해결 (0) | 2020.08.01 |
1. 문제 해결력 (0) | 2020.08.01 |
커뮤니케이션 (0) | 2020.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