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53

디비 이야기 8. 타입변환

1. 타입변환이란? = 명시적 형변환을 말한다. 2. 타입변환의 종류 1) 명시적 형변환 : 데이터 앞에 타입을 명시해주는 것으로 주로 큰 타입을 작은 타입으로 변환시 사용한다. 작은 것을 큰 타입으로 변환시 데이터 손실이 일어난다! 2) 묵시적 형변환 : 자동으로 타입을 변환해준다 3. DB의 타입변환 1] 문자를 숫자형태로 변환 - INT / FLOAT / NUMBERLIC/ DECIMAL -> NUMBERLIC(전체길이(소수점이하 포함), 소수점이하 길이) : 실수 -> DECIMAL(동일) : 실수 1) CONVERT 문법 : CONVERT(숫자형, 값)EX) CONVERT(INT, '10')-> 결과 : 10 2) TO_NUMBER 문법 : CONVERT와 동일 2] 숫자형 형태 높이기 1) C..

DB 이야기 2020.03.03

디비 이야기 7. 제어문

1.DB의 제어문 종류 = 프로그램을 순차적으로 진행시 내가 원하는 방향으로 제어하고 싶을시 사용 - 중첩이 가능하다! 1) CASE = 값을 조건에 맞게 비교하거나 표현의 값 변환이 필요할시 사용한다 -> (, != 등 연산자 사용가능!) EX) SELECT * FROM 테이블명 WHERE 컬럼명 CASE 원하는 특정 컬럼(없으면 공백처리) WHEN 비교조건 THEN 처리조건 ELSE default 조건 END(필수다!) 2) DECODE = 값에 따라 다양한 조건에 따라서 값이 반환된다. -> ==으로 참, 거짓으로만 판단할 수 있다. (연산자 사용 불가능) 문법 : DECODE(값, IF1, THEN1, IF2, THEN2) EX) SELECT deptno FROM (deptno, 10, good,..

DB 이야기 2020.0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