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타입변환이란?
= 명시적 형변환을 말한다.
2. 타입변환의 종류
1) 명시적 형변환 : 데이터 앞에 타입을 명시해주는 것으로 주로 큰 타입을 작은 타입으로 변환시 사용한다.
작은 것을 큰 타입으로 변환시 데이터 손실이 일어난다!
2) 묵시적 형변환 : 자동으로 타입을 변환해준다
3. DB의 타입변환
1] 문자를 숫자형태로 변환
- INT / FLOAT / NUMBERLIC/ DECIMAL
-> NUMBERLIC(전체길이(소수점이하 포함), 소수점이하 길이) : 실수
-> DECIMAL(동일) : 실수
1) CONVERT
문법 : CONVERT(숫자형, 값)EX) CONVERT(INT, '10')-> 결과 : 10
2) TO_NUMBER
문법 : CONVERT와 동일
2] 숫자형 형태 높이기
1) CAST
= FLOAT / NUMBERLIC -> INTEGER로 변환
EX) SELECT CAST(칼럼 AS INT) FORM 테이블명
* AS(알리아스) : 사용자가 원하는 별칭 부여가능
3] 날짜, 숫자형에서 문자형으로
1) TO_CHAR
EX) SELECT TO_CHAR(SYSDATE, 'YYYY_MM_DD'')
4] STRING 체크
= LENGTHB : STRING 된 수를 체크해준다.
(SELECT LENGTHB('강') FROM DUAL;)
'DB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비 이야기 10. 숫자타입 함수 (0) | 2020.03.06 |
---|---|
디비 이야기 9. 대소문자 변환 (0) | 2020.03.05 |
디비 이야기 7. 제어문 (0) | 2020.03.03 |
디비 이야기 6. 연산자 (0) | 2020.03.02 |
디비 이야기 4. DML (0) | 2020.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