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53

디비 이야기 6. 연산자

1. DB의 연산자 종류 (4가지) = WHERE절을 이용하여 자료를 제한하여 필요한 부분만 가져오게 할 수 있다 이유 : 데이턱라 너무 방대하다보면 CPU에 기능에 부하가 걸릴 수 있다. 따라서 쿼리 튜닝에서 제일 첫번째로 검토대상이 된다. [WHERE에 오는 대상들] 1) 칼럼명 2) 비교칼럼(JOIN시) 3) 비교연산자 4) 문자, 숫자, 표현식 1) 기본연산자 (숫자나 날짜를 더하고, 빼고 , 곱하고, 나눈다) - || : 두 문자 / 열을 결합한다. ex) SELECT 'A'||'B' FROM DUAL; -> 결과 : AB 2) 대입 연산자 = 변수에 값을 대입할 때 사용한다 1] '='= 대입기호이지만 사용자의 의도와 다를 수 있다(비교 연산자와 햇갈림)2 ] ':=' = 무조건 대입만 가능한..

DB 이야기 2020.03.02

디비 이야기 5. 데이터 타입

1. 데이터 타입이란?= 다양한 데이터를 식별해주며 자료 마다 필요한 바이트 길이 등을 지정해준다 2. 데이터 타입 종류 (3가지)=> 거의 STIRNG / VARCHAR2 / NUMBER / DECIMAL 를 자주사용함 [ 문자형 데이터 타입 ]1) char = 고정형 길이타입(최대 255)으로 지정된 길이보다 짧을시 공백으로 채워진다2) varchar = 가변형 길이 타입(최대 약6만)으로 지정된 길이보다 짧을시 나머지 공간은 채우지 않는다 1] 가변 문자열이지만 NVAR는 무조건 2바이트2] 예시   [ 숫자형 데이터 타입 ]1) int= 양수,음수 포함하여 4바이트 가능2) bigint= 정수형 데이터 타입(8바이트) / 무제한 수 표현 가능3) float(길이, 소수) - 부동 소수형= 고정 소..

디비 이야기 4. DML

(1) DML(DATABASE MANIPULATION ) - 조작어 = 테이블에 있는 데이터의 내용을 변형하는 것 1) INSERT : 테이블에 새로운 레코드(행)을 추가한다 EX) INSERT INTO 테이블명(필드명....) VALUES(데이터 값....) -> 필드명 수 = 데이터 값 수 * 필드명을 쓰지 않아도 정상 작동이 되지만 나중에 자기가 뭘 추가하고 수정했는지 잘 알기위해 기입한다! [INSERT INTO SELECT] = SELECT한 결과를 다른 테이블에 INSERT하는 방법 EX) INSERT INTO 목적지 테이블명 (컬럼명들......) SELECT * / (컬럼명들.....) FROM 출발 테이블명 -> 각각의 테이블명은 달라야 한다! 2) UPDATE : 레코드(행) 내용 수정..

DB 이야기 2020.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