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데이터가 자산이 되는 데이터 경제 = 데이터 경제는 2011년 데이번 뉴빗이란 분이 사용한 개념이며, 아직 공식적이 개념은 아니다. 데이터 경제는 데이터의 활동이 중요 생산요소가 될 것이라는 경제구조 논리다. 왜냐면, 데이터를 가공하고 분석하는 일이 기업의 중요한 미래 자산이라는 점 때문이다. ex) 산업시대의 석탄과 석유를 잘 활용한 국가가 강대국이 되었듯이 이제는 데이터를 잘 활용하는 국가가 강대국이 될 것이라는 점이다. 2. 미래는 데이터 경제다 = 구글, 페이스 북, 카카오톡, 네이버, 다음 등 2000년 이후 새로운 분야의 산업이 생기고 새로운 기업이 성장했다. 위의 기업들은 강력한 검색엔진을 통해 세계의 정보를 기반으로 돈을 벌고 있다. 더군다나, 구글은 유투브를 인수하여 동영상 플렛폼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