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식별자관계만 이용하여 데이터 모델링을 전개할 경우 = PK 속성의 숫자가 증가 할수록 관련된 SQL 구문이 복잡해져 복잡성으로 인한 개발오류 유발 2) 비식별자관계만 이용하여 데이터 모델링을 전개할 경우 = 데이터간 과다 조인을 유발하여 성능저하를 일으킴 3) 해결법 = 위의 오류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 1. 데이터 모델 관계 도출시, 식별자 / 비식별자관계의 의미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업무적 특징, 조인관계, pk 구성을 고려하여 결정하기. 4) pk구조 영향 받는 사실 = 식별자끼리만 연결시 pk 속성의 수 증가 5) 비식별자끼리로만 연결시 문제점 1. 테이블 마다 중요한 기준속성이 있다. -> 부모 엔티티타입에 있는 pk 속성에서 자식 엔티티타입에 존재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 이것이 비식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