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분개란? (쪼개기)
목적 1
= 거래나 사건을 계정별로 나주어 차변과 대변으로 나누어 기록한다.
목적 2
= 분개장 또는 전표를 만드는데에 사용한다.
이유 = 복식부기의 원리(거래의 이중성)에 따라서 분개라는 규칙이 만들어지며, 재무제표를 만들려면 필수다.
* 거래의 이중성 = 차변과 대변의 합이 같다.
자산, 자본, 부채, 수익, 비용은 한 가지 요소만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원인과 결과가 항상 있다)
2. 단식부기와 복식부기
1) 단식부기
목적 = 돈을 벌고 쓴 결과만 기록하는 것 (ex) 가계부)
단점 = 자산,부채,자본에 대한 정보가 없다.
2) 복식부기
목적 = 자산, 자본, 부채를 기록하며 거래의 이중성을 방지한다.
이유 = 거래를 검증할 수 있는 장치가 있으며 자산, 부채, 자본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3. 차변과 대변 (a+b = c)
차변(자비 / from debtor) 대변(자부수 / To debtor)
자산 증가 자산감소
자본 감소 자본 증가
부채 감소 부채 증가
비용 증가 수익 증가
=> 대차 평균의 원리 / 거래의 이중성
1) 대차 평균의 원리
= 차변과 대변의 합은 항상 같다
2) 거래의 이중성
= 거래는 반드시 자산, 부채, 자본의 증감 / 수익, 비용의 발생이 차변 대변의 결합관계로 나타암
3) 8대요소 : 차변과 대변에서 증가한 것이 반대편으로 가면 감소로 표시
4. 분개 순서
1) 거래 확인
= 금액으로 확인가능하고 회사 자산에 영향을 준다.
ex) 프린트 50만원을 주고 거래했다.
2) 차변과 대변으로 나눈다.
3) 복수계정을 파악하고 올바른 계정 위치에 기입한다.
'회계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계 이야기 6. 수익과 비용 (0) | 2020.02.16 |
---|---|
회계이야기 5. 부채와 자본 (0) | 2020.02.16 |
회계 이야기 4. 계정과 자산 (0) | 2020.02.15 |
회계 이야기 2. 회계에서 거래란? (0) | 2020.02.15 |
회계 이야기 1. 회계란?? (0) | 2020.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