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감가강삭비
= 모든 무형, 유형자산은 보유기간 동안 감가상각이 원칙
-> 단, 토지, 건설중인 자산은 제외 / 무형은 권리에 대한 것
차변 : 감가상각비 (비용)
대변 : 감각상각누계액 (차감적 평가계정)
2. 감가상각 계산 3요소
1) 취득원가 : 자산의 최초매입가격 (구매액+수수료+취득세)
-> 주의) 건물 취득 후 보험료는 제외된다.
2) 내용연수 : 기업에서 자산을 사용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는 기간
3) 잔존가치 : 내용연수가 종료되는 시점에서 자산 처분가능액
3. 감각상각종류
1) 정액법 : 시간의 정비례해서 발생
= (취득원가 - 잔존가치) / 내용연수
2) 정률법
= (취득원가 - 감각상각누계액) * 상각률 = 미상각잔액 * 상각률
3) 생산량비례법 : 보유한 자산의 가치감소가 단순 시간 경과에 따라 나타나기보다 생산량, 작업시간에 비례하여 나타남
= (취득원가 - 잔존가치) * 실제생산량 / 총 추정생산량
'회계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계이야기 13. 현금흐름표, 자본변동표 (0) | 2020.04.21 |
---|---|
회계이야기 11. 회계의 기본가정 (0) | 2020.04.19 |
회계 이야기 10. 시산표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0) | 2020.02.16 |
회계이야기 9. 현금의 시간 흐름 (0) | 2020.02.16 |
회계 이야기 8. 전기와 총계정원장 (0) | 2020.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