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시산표란? (수정전 / 수정후로 나눔)
= 총계정원장이 차변과 대변의 합이 제대로 기록되었는지 검산하는 보고서
= 계정과목이 중간에 존재하고 차변과 대변이 좌,우에 있다.
[결산절차]
1. 수정전 시산표 작성
2. 결산수정분개
3. 수정 후 시산표 작성
4. 장부 마감
5. 손익계산서와 재무상태표 작성
* 결산 = 특정 시점에서 마감하는 것
[시산표 종류]
1. 합계시산표
- 각 계정과목의 차변과 대변의 합계를 집계 (작성기간의 거래총금액)
- 각 계정의 기초잔액 + 분개장 금액 : 시산표의 합계 대조
2. 잔액시산표
- 각 계정과목의 잔액만 표시하는 시산표
- 차변 : 자산, 비용계정 잔액
- 대변 : 부채,자본, 수익계정 잔액
3. 합계잔액 시산표 (1+2)
1-1. 결산수정분개, 수정 후 시산표
1) 결산수정분개
= 정확한 결산을 위해 총계정원장의 계정의 잔액과 실제 잔액을 일치시키는 분개
2. 재무상태표 (= 건강진단표)
= 일정시점에서 회사 재산 상태를 나타낸다. (지금 이 남자에게 돈이 많다)
= 자산 = 부채+{자본+수익-비용}
= 전기말과 당기초를 비교한다
[재무상태 분석]
= 건강엔 안정성이 중요하다 (혈압, 맥박 등 정상인가?)
1) 유동성(유동비율)
= 유동자산 / 유동부채 * 100
= 얼마나 1년 이내에 돈을 만들 수 있고 1년 이내에 갚아야할 돈을 얼마나 잘 부담하고 있는가?
= 유동비율은 200% 정도면 안정적이다
2) 당좌비율
= 당좌자산 / 유동부채 * 100
= 얼마나 빨리 현금화 할 수 있는가?
= 100% 이하면 좋다
3) 부채비율
= 총부채 / 자본 * 100
= 얼마나 효과적으로 돈을 갚을 수 있는가?
= 100% 보다 높으면 안정성이 떨어진다
3. 손익계산서 (이익 = 수익-비용)
= 일정기간동안의 경영성과(1월~12월까지 이익이 많았다)
[포괄손익계산서와 뭐가 다를까?]
= 손익계산서 + (당기순이익, 기타포괄손익)
[재무비율 계산]
1. 수익성 비율은 높을 수록 좋다
1) 매출액총이익률
= 매출총이익 / 매출액 * 100
2) 영업이익률
= 영업이익 / 매출액 * 100
2. 활동성 비율도 평가 대상이다
= 얼마나 부지런한가?
3) 재고자산회젼율
= 매출원가 / 평균재고자산
4) 매출채권회전율
= 매출액 / 평균매출채권
3. 성장비율로 미래를 판단하자
5) 매출액증가율
= (당기 매출액 - 전기 매출액) / 전기 매출액 *100
6) 유형자산증가율
= (당기말 유형자산 - 전기말 유형자산) / 전기말 유형자산 * 100
7) 총자산증가율
= (당기말 총자산 - 전기말 총자산) / 전기말 총자산 * 100
'회계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계 이야기 12. 감가상각비 (0) | 2020.04.20 |
---|---|
회계이야기 11. 회계의 기본가정 (0) | 2020.04.19 |
회계이야기 9. 현금의 시간 흐름 (0) | 2020.02.16 |
회계 이야기 8. 전기와 총계정원장 (0) | 2020.02.16 |
회계 이야기 7. 전표와 분개장 (0) | 2020.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