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데이터 타입이란?
= 다양한 데이터를 식별해주며 자료 마다 필요한 바이트 길이 등을 지정해준다
2. 데이터 타입 종류 (3가지)
=> 거의 STIRNG / VARCHAR2 / NUMBER / DECIMAL 를 자주사용함
[ 문자형 데이터 타입 ]
1) char
= 고정형 길이타입(최대 255)으로 지정된 길이보다 짧을시 공백으로 채워진다
2) varchar
= 가변형 길이 타입(최대 약6만)으로 지정된 길이보다 짧을시 나머지 공간은 채우지 않는다
<varchar와 nvarchar의 차이>
1] 가변 문자열이지만 NVAR는 무조건 2바이트
2] 예시
[ 숫자형 데이터 타입 ]1) int= 양수,음수 포함하여 4바이트 가능2) bigint= 정수형 데이터 타입(8바이트) / 무제한 수 표현 가능3) float(길이, 소수) - 부동 소수형= 고정 소수점 사용(4바이트)4) decimal(길이, 소수)= 소수점 사용형태(1바이트)5) double(길이, 소수) - 부동 소수형 = double을 문자열로 저장(8바이트)
[날짜형 데이터 타입]1) date = 날짜(년,월,일) 형태 기간 데이터 타입(3바이트)2) time= 시간(시,분,초) 형태 기간 데이터 타입(3바이트)3) datetime(1과 2를 합친것)4) year = 년도 표현 데이터 타입(1바이트)
=> BLOB 등으로 사용가능하다
[boolean 형차이]
=> 초기화 널 차이
=> 자료형 vs 참조형의 형태의 차이
참고 : https://hajoung56.tistory.com/59
boolean 참고 : https://pythontoomuchinformation.tistory.com/493
'DB 이야기 > DB 도메인 설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2] 식별자와 비식별자 관계 설정 (0) | 2020.08.11 |
---|---|
1] PK 컬럼 순서 (0) | 2020.08.07 |
모델링 기법 (0) | 2020.03.23 |
디비 이야기 14. ERD와 이상, 정규화 (0) | 2020.03.08 |
디비 이야기 1. 데이터 베이스들(관계, 계층 (0) | 2020.0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