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함수를 정의한다
ex) function 함수이름(파라미어 : 값) {
alert() -> 출력문
}
2. 쌍 따옴표와 작은 따옴표 차이
- 작은 따옴표는 문자열 안에 문자열을 표현하고 싶을시 사용가능
- 양 쪽다 써도 무방하다
3. 삼항연산자 조건문
문법 : 조건식? 참 : 거짓
ex) value = (x>y) ? x : y;
4. 문자열 메소드
1) variable.charAt()
= 반환받을 문자열의 몇번째 문자만 반환받을지 선택하는 메소드
2) variable.replace("기존의 문자열", "새로 넣을 문자열")
= 기존의 문자열을 새로운 문자열로 변경시 사용한다
= replace는 대체라는 의미.
3) variable.toUpperCase("소문자")
= 소문자을 대문자로 바꿔주는 메소드다
5. 길이 이용하는 법
= variable.length;
- 문자열의 총 바이트 수나 수치로 나오게 한다
'넥사크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keyString (0) | 2020.07.14 |
---|---|
배열에 추가 및 제거 (0) | 2020.07.07 |
공통함수 만드는 법 (0) | 2020.07.05 |
DIV & STATIC (0) | 2020.06.11 |
연산자와 변환하기 (0) | 2020.02.23 |